새해를 맞아 재테크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, 가장 기본적인 금융상품인 예금과 적금 금리부터 꼼꼼히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오늘은 주요 은행별 금리를 확인하며, 나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팁을 소개합니다.
예금과 적금의 차이점, 간단히 정리
금융상품의 기본을 이해하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어요.
구분 | 예금 | 적금 |
정의 | 목돈을 한번에 맡기고 이자를 받는 상품 |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며 이자를 받는 상품 |
이자 계산 | 원금 전체에 대해 매월 이자를 지급 | 매달 저축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 |
적합 대상 | 목돈을 굴리고 싶은 사람 | 꾸준히 자산을 모으고 싶은 사람 |
이자 수령 시점 | 만기 또는 월마다 지급 가능 | 만기 시 일괄 지급 |
2025년 주요 은행 금리 비교 (2025년 1월 기준)
1. 예금 금리 비교
주요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1년 기준 예금 금리는 다음과 같습니다:
은행명 | 금리(연) | 특징 |
국민은행 | 3.2% | 안정성 높은 시중은행 상품 |
신한은행 | 3.3% | 고객 등급에 따라 우대금리 제공 |
우리은행 | 3.1% | 오픈뱅킹 우대금리 이벤트 진행 |
하나은행 | 3.35% | 모바일 가입 시 추가 혜택 |
SBI저축은행 | 4.1% | 시중은행 대비 높은 금리 제공 |
OK저축은행 | 4.15% | 저축은행의 대표적인 예금 상품 |
2. 적금 금리 비교
적금 금리는 은행별로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은행명 | 금리(연) | 특징 |
국민은행 | 3.6% | 월납입 한도 30만 원 제한 이벤트 진행 |
신한은행 | 3.8% | 생활비 연계 우대 금리 제공 |
하나은행 | 3.75% | 첫 거래 고객 대상 특별 금리 제공 |
우리은행 | 3.7% | 온라인 가입 우대금리 |
웰컴저축은행 | 4.8% | 10만 원 미만 소액 적금 가능 |
한국투자저축은행 | 4.9% | 가입 금액 상관없이 높은 금리 |
금리 외에 살펴봐야 할 체크포인트
- 우대금리 조건 확인하기
-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기본 금리에 우대 금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자동이체 설정, 신용카드 사용실적, 급여이체 등록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.
-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기본 금리에 우대 금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- 중도 해지 시 조건 확인
- 금리가 높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. 중도 해지 시 적용 금리를 확인하고, 꼭 만기까지 유지할 수 있는 상품을 선택하세요.
- 이자 지급 방식
- 매월 이자를 받는 월이자 지급형인지, 만기 시 일괄 지급되는 만기 지급형인지 확인하세요.
- 저축한도와 기간 선택
- 적금은 매달 넣을 수 있는 금액의 한도, 예금은 예치 기간에 따라 적용 금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. 본인의 자금 계획에 맞춰야 합니다.
나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고르는 방법
- 목돈 활용을 원한다면? 예금
이미 자산이 있고 안정적인 이자를 원한다면 예금이 적합합니다. - 소액으로 시작한다면? 적금
목돈이 없고 매달 조금씩 꾸준히 모아가고 싶다면 적금이 알맞습니다. - 고금리 은행 이용하기
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도 좋은 대안입니다. 다만, 예금자보호가 되는 상품인지 꼭 확인하세요.
지금 바로 시작해 보세요!
금리는 매년 변동되고, 은행마다 혜택이 다릅니다. 현재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해 새해부터 재테크를 시작하세요!
오늘 소개해 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선택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.
'유용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설 명절 귀성길, 알면 좋은 혜택과 진료병원 찾는 법 (1) | 2025.01.28 |
---|---|
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말하는 방법, 이렇게 해보세요! (3) | 2025.01.27 |
변화하고 있는 명절 문화 (10) | 2025.01.25 |
스케일링과 잇몸스케일링, 어떤 차이가 있을까? (2) | 2025.01.24 |
유명 유튜버, 방송에서도 성공하는 이유는? (3) | 2025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