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용정보

🐣 갓 태어난 새들은 왜 처음 본 대상을 어미로 생각할까?

easylove 2025. 3. 13. 08:00

“알에서 깨어난 새들은 처음 본 대상을 어미로 여긴다?”
이런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본 적 있으시죠? 실제로 과학적으로 증명된 현상으로, 이를 ‘각인(imprinting)’이라고 합니다.

오늘은 새들이 처음 본 대상을 어미로 인식하는 이유와, 그 관계가 평생 지속되는지에 대해 알아볼게요!

📌 각인이란?
각인은 어린 동물이 생애 초기, 짧은 기간 동안 특정한 대상을 어미로 인식하는 현상입니다.
이 현상은 특히 새들에게서 많이 관찰되며, 한 번 각인이 이루어지면 쉽게 바뀌지 않아요.

📌 각인이 일어나는 이유
✅ 생존 본능
• 갓 태어난 새들은 스스로 살아가기 힘들기 때문에, 보호받을 대상을 빠르게 인식해야 함
• 최초로 본 움직이는 대상을 어미로 인식하고 따르게 됨

✅ 유전적 프로그램
• 자연에서는 부화 직후 어미가 곁에 있기 마련
• 따라서 처음 본 대상을 따르도록 진화한 것

✅ 학습보다 강한 본능
• 일반적인 학습과 달리, 각인은 단 한 번으로 강하게 각인됨
• 이후 환경이 바뀌어도 처음 인식한 대상을 어미로 여기는 경향이 큼

📌 로렌츠의 거위 실험 🦢
이 현상을 연구한 대표적인 학자가 콘라트 로렌츠(Konrad Lorenz)입니다.
그는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냈어요.

✔ 부화한 거위 새끼들을 두 그룹으로 나눔
✔ 한 그룹은 진짜 어미를 보게 했고, 다른 그룹은 로렌츠 자신을 처음 보게 함
✔ 결과는? 로렌츠를 본 새끼 거위들은 그를 따라다님!

즉, 어떤 대상이든 처음 본 존재를 어미로 인식한다는 것이 입증된 것이죠.

📌 각인은 평생 지속될까?
💡 여기서 궁금한 점!
“각인된 존재를 평생 어미로 생각할까?”

1️⃣ 일부 동물은 평생 지속됨
• 오리, 거위 같은 새들은 각인된 대상을 오랜 기간 따라다니는 경향이 있음
• 심지어 사람에게 각인된 새들이 평생 사람을 따르기도 함

2️⃣ 일부 동물은 성장하면서 바뀜
• 생후 몇 주가 지나면서 본능적으로 종족을 구별하는 경우도 있음
• 하지만 각인의 영향력은 성체가 된 후에도 완전히 사라지진 않음

3️⃣ 번식 행동에도 영향을 줌
• 사람에게 각인된 새들은 같은 종이 아니라 사람을 따라다니며 교감을 원하기도 함
• 극단적인 경우, 짝짓기 대상을 같은 종이 아닌 각인된 대상으로 여기는 경우도 있음

📌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?
각인은 단순히 생존 전략일 뿐만 아니라, 인간과 동물 간의 유대감 형성에도 영향을 줍니다.

✔ 애완 조류나 유기 동물이 사람에게 각인될 경우 평생 사람을 따르게 될 수 있음
✔ 강아지, 고양이도 어릴 때 경험에 따라 주인을 어미처럼 인식하는 경우 많음

📌 정리하면?
✅ 새들은 태어나자마자 처음 본 대상을 어미로 인식하는 각인 현상을 가짐
✅ 각인은 생존을 위한 본능적 행동으로, 변경이 쉽지 않음
✅ 일부 동물은 성장하면서 본능적으로 종을 구별하지만, 각인의 흔적은 평생 남음

자연의 신비로운 생존 전략,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? 🐥✨